[re] 노루귀의 종자발아법에 대하여 자세히 알려주세요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서종택 댓글 0건 조회 2,433회 작성일 02-05-14 18:15본문
고령지농업시험장에서 노루귀의 종자발아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간단히 말씀드리겠읍니다.
노루귀 종자가 속한 미나리아재비과의 식물중에는 휴면기간이 길거나 2중 휴면의 특성을 보이는 식물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노루귀의 경우도 생육상을 살펴보면 봄에 개화 후 미숙된 종자가 탈립되어 토양 속에서 높아지는 외기 온도에 따라 종자의 성숙과정을 거친 후 뿌리의 생장점을 발생시킨 상태에서 휴면에 들어가 여름을 지내고 가을과 겨울의 저온에 의해 휴면타파된 후 이듬해 봄에 발아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생육상의 모델대로 종자를 수확 후 바로 발아시험을 시작하여 전처리 온도 20℃에 4주와 8주를 처리한 후 저온 4 8℃에서 4주 처리한 후 발아온도를 15 20℃로 두어 발아률을 조사하였다(표 3). 시험결과 모든 처리에서 발아는 되지 않았다.
그러나 GA를 농도별로 처리한 후 저온처리와 같은 방법으로 처리한 결과 100 ㎎/L의 6일 침지처리한 것이 처리 후 56일 만에 5%의 발아율을 보인 것을 시작으로 300 ㎎/L 6일 침지처리구에서 15%로 가장 높았고 500 ㎎/L 3일 침지구에서 5%로 감소한 후 더 높은 농도와 침지기간에서는 발아가 되지 않았다. 이 결과에서 온도처리 시험에서는 발아가 되지 않은 이유는 전처리기간이 생육상의 여름까지의 기간인 5월부터 8월까지의 기간과 비슷한 8주 처리가 있었으나 그 후 저온처리 기간이 4주로 지나치게 짧은 것에 기인하여 휴면물질의 타파가 미흡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GA를 활용한 농도별 발아는 500 ㎎/L를 넘지 않는 것이 발아에 유효하였고 20℃ 전처리를 통하여 배의 성숙을 이루었고 이후 GA 처리로 휴면물질의 효율적 제거가 이루어졌다고 생각되었다.
그러나 발아율이 15%에 불과하여 매우 낮은 경향을 보였다.
노루귀의 발아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GA와 온도처리를 겸하여 처리하여 GA3 농도를 무처리와 500 ㎎/L를 1일 침지 전처리 한 후 저온인 4℃와 상온인 20℃의 16주 처리와 상온 20 25℃에 4주 처리 후 저온인 5℃에 12주 처리하여 20℃의 발아온도에서 발아율을 조사하였다. 시험결과 GA 전처리구에서 20℃ 16주 처리구가 발아율 35.6%로 가장 높았고 GA 무처리구는 29.9%로 낮았다. 기타 모든 처리구에서는 발아가 되지 않았다. 이로써 노루귀는 발아 이전에 먼저 종자의 완숙이 우선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고 이는 상온조건인 20℃가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또한 GA 처리는 휴면물질을 제거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그러나 발아율이 35.6%로 지극히 낮아 앞으로 노루귀의 휴면에 관한 보다 생리적인 연구가 우선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발아율이 아주 높지는 않지만 현재로 저희가 수행한 결과입니다. 앞으로 좀더 발아율을 높일 수 있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아무쪼록 열심히 하셔서 많이 발아시키도록 하십시요.
그리고 자주 저희 싸이트를 이용하여주십시요.
고맙습니다.
노루귀 종자가 속한 미나리아재비과의 식물중에는 휴면기간이 길거나 2중 휴면의 특성을 보이는 식물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노루귀의 경우도 생육상을 살펴보면 봄에 개화 후 미숙된 종자가 탈립되어 토양 속에서 높아지는 외기 온도에 따라 종자의 성숙과정을 거친 후 뿌리의 생장점을 발생시킨 상태에서 휴면에 들어가 여름을 지내고 가을과 겨울의 저온에 의해 휴면타파된 후 이듬해 봄에 발아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생육상의 모델대로 종자를 수확 후 바로 발아시험을 시작하여 전처리 온도 20℃에 4주와 8주를 처리한 후 저온 4 8℃에서 4주 처리한 후 발아온도를 15 20℃로 두어 발아률을 조사하였다(표 3). 시험결과 모든 처리에서 발아는 되지 않았다.
그러나 GA를 농도별로 처리한 후 저온처리와 같은 방법으로 처리한 결과 100 ㎎/L의 6일 침지처리한 것이 처리 후 56일 만에 5%의 발아율을 보인 것을 시작으로 300 ㎎/L 6일 침지처리구에서 15%로 가장 높았고 500 ㎎/L 3일 침지구에서 5%로 감소한 후 더 높은 농도와 침지기간에서는 발아가 되지 않았다. 이 결과에서 온도처리 시험에서는 발아가 되지 않은 이유는 전처리기간이 생육상의 여름까지의 기간인 5월부터 8월까지의 기간과 비슷한 8주 처리가 있었으나 그 후 저온처리 기간이 4주로 지나치게 짧은 것에 기인하여 휴면물질의 타파가 미흡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GA를 활용한 농도별 발아는 500 ㎎/L를 넘지 않는 것이 발아에 유효하였고 20℃ 전처리를 통하여 배의 성숙을 이루었고 이후 GA 처리로 휴면물질의 효율적 제거가 이루어졌다고 생각되었다.
그러나 발아율이 15%에 불과하여 매우 낮은 경향을 보였다.
노루귀의 발아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GA와 온도처리를 겸하여 처리하여 GA3 농도를 무처리와 500 ㎎/L를 1일 침지 전처리 한 후 저온인 4℃와 상온인 20℃의 16주 처리와 상온 20 25℃에 4주 처리 후 저온인 5℃에 12주 처리하여 20℃의 발아온도에서 발아율을 조사하였다. 시험결과 GA 전처리구에서 20℃ 16주 처리구가 발아율 35.6%로 가장 높았고 GA 무처리구는 29.9%로 낮았다. 기타 모든 처리구에서는 발아가 되지 않았다. 이로써 노루귀는 발아 이전에 먼저 종자의 완숙이 우선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고 이는 상온조건인 20℃가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또한 GA 처리는 휴면물질을 제거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그러나 발아율이 35.6%로 지극히 낮아 앞으로 노루귀의 휴면에 관한 보다 생리적인 연구가 우선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발아율이 아주 높지는 않지만 현재로 저희가 수행한 결과입니다. 앞으로 좀더 발아율을 높일 수 있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아무쪼록 열심히 하셔서 많이 발아시키도록 하십시요.
그리고 자주 저희 싸이트를 이용하여주십시요.
고맙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