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야생식물연구회

야생 식물방

HOME>식물방>야생 식물방

돌나물

페이지 정보

작성자 방두리 댓글 4건 조회 369회 작성일 04-05-21 16:17
  • 장소#1
  •  경기도 성남시 분당 정자동
  • 장소#3
  •  노지
  • 시기
  •  2004/05/21
  • 꽃이름
  •  돌나물 (Sedum sarmentosum Bunge)    도감보기 통합검색
  • 꽃색
  •  노랑
  • 추천
  •  0 추천하기 (이글을 평가해 주세요. 3회 이상 추천 받은 이미지는 갤러리 등록됩니다.)

본문

명 칭 학 명 : Sedum sarmentosum BUNGE

과 명 : 돌나물과

유사종 : 기린초 : Sedum Kamtschaticum FISCH
가는기린초 : Sedum aizoon LINNE

분포지역 : 전국 산야지
주 성 분 : 식품분석결과 각종 영양소가 함유되고 있어 봄철에 조상들이 많이 이용했음을 알 수 있다.

* 용도 : 봄철 물김치, 연중 겉절이무침, 돌나물김치

가. 특성
다년생 다육식물로 줄기는 지상 15~50cm정도되고 땅표면을 따라 옆으로 뻗어 나가는 반포복성이며, 잎은 긴 타원형으로 길이가 2~3cm, 폭은 5mm, 두께는 1~2mm정도된다. 꽃은 5~6월경에 줄기 끝에 별 모양의 연황색 꽃이 핀다. 꽃받침은 녹색으로 뾰족한 모양을 하고 있으며,수술이 10개다. 꽃잎은 피침형 예두로서 꽃받침보다 길며, 지름이 6~10mm정도된다.

나. 재배환경
돌나물은 몸 속에 많은 물기를 함유하고 있어 가뭄에 견디는 힘이 매우 강하며, 비교적 뜨거운 햇볕에도 잘 견딘다. 반면에 물이 고이는 땅은 싫어하므로 물빠짐이 좋고 다소 건조한 곳이 좋다. 한여름에 수확할 때는 해가림을 20~30%정도 해도 잘 자란다.

다. 재배기술
(1) 종묘준비
번식은 주로 포기나누기나 꺾꽃이로 되고, 10a당 100~200kg의 포기줄기가 소요된다.
(2) 본밭정식
생육기에는 어느 때나 본 밭 조성이 가능하며 주로 봄, 여름간에 줄기를 수집하고 2~3cm로 절단하여 두둑넓이 90cm, 높이 20cm로 만들어 놓은 두둑에 흩어뿌림 한다. 줄기가 보일정도로 얕게 복토한 다음 약간 다지고 물을 흠뻑 주면 10여일 후에 뿌리가 내리고 새싹이 돋는다.
(3) 거름주기
거름은 밑거름 위주로 하며, 모를 심기 전에 밭 흙과 잘 혼합되도록 경운로타리 와 밭둑을 만든다. 
 내용출처: http://kale.com.ne.kr/menu4-4-45.htm


돌나물이라 할까 돈나물이라 할까 돗나물이라 할까...
고민하다가 검색을 했더니 이렇게 상세한 설명이 있네요. ^^
추천0

댓글목록

진영민님의 댓글

진영민 작성일

  사진을 잘찍으셨네요.. 돌나물의 딱딱함이 느껴지는듯 하네요

이영태님의 댓글

이영태 작성일

  내용을 상기시켜주시니 감사.^^

방두리님의 댓글

방두리 작성일

  앗` 돌나물이 딱딱하다 하시는분 첨 봤어요. +_+ 저게 얼마나 부드럽고 상큼하고 맛있는데요~~ 약수터 쪽에선 아직 꽃 안피고 한창 자라고 있어 오늘도 아주아주 맛있게 먹었지요~ ^^

방두리님의 댓글

방두리 작성일

  아무래도 내가 사진을 잘못 찍은게야...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