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야생식물연구회

원예 식물방

HOME>식물방>원예 식물방

청초롱

페이지 정보

작성자 김장복 댓글 14건 조회 610회 작성일 05-10-13 23:06
  • 장소#1
  •  강화 송해면-노지
  • 장소#3
  •  원예종
  • 시기
  •  2005/10/13
  • 꽃이름
  •  청초롱 통합검색
  • 꽃색
  •  파랑
  • 추천
  •  0 추천하기 (이글을 평가해 주세요. 3회 이상 추천 받은 이미지는 갤러리 등록됩니다.)

본문

아직도 싱싱한 녀석입니다.

댓글목록

장성일님의 댓글

장성일 작성일

  뚝뚝 떨어지는 파란 하늘빛을 몽땅 뒤집어 쓴듯한 색감, 강렬하군요.

김용환님의 댓글

김용환 작성일

  진한 색상이 아주 좋습니다.

노현옥님의 댓글

노현옥 작성일

  저에게도 섬초롱님을 만날수있는 기회가 주어진다면 아주 예뽀해 줄텐데....

이길영님의 댓글

이길영 작성일

  색상이 참으로 곱군요.금강초롱을 보는 듯 한데다가 아직도 싱싱하다니 아마 주인의 보살핌에 깊이 보답하나 봅니다.

박경규님의 댓글

박경규 작성일

  우리 것인가요?

김성대님의 댓글

김성대 작성일

  우와~

박대철님의 댓글

박대철 작성일

  원예종 청초롱으로 보이는군요.

김종건님의 댓글

김종건 작성일

  선명한 색감 아주 좋습니다.

장재우님의 댓글

장재우 작성일

  촬영지가 궁금합니다,식물원인지요? 재배지라면 청초롱일 확율이  크겠지요.

이연옥님의 댓글

이연옥 작성일

  저가 보기에도 원예종 청초롱으로 (저의집에 기르고 있음)

김장복님의 댓글

김장복 작성일

  확인하여 보니 청초롱이 맞는 것 같습니다. 지적하여주신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청초롱이란 이름을 오늘 처음 들었습니다. 흐~

제미숙님의 댓글

제미숙 작성일

  깊고 푸른 빛이 참 좋습니다.

김정림님의 댓글

김정림 작성일

  어쩜 이리 곱습니까?

우정호님의 댓글

우정호 작성일

  저렇게 부르기도 하군요

이길영님의 댓글

이길영 작성일

  귀한 노랑할미꽃이군요.이 녀석이 원예종인가요,자생종인지요?

손경화님의 댓글

손경화 작성일

  원예종, 자생종 그런 개념을 쌈박하게 정리해주실 분!! 그나저나 처음봅니다.

박대철님의 댓글

박대철 작성일

  구지 따진다면 원예종은 인간의 필요에 의해서 인위적으로 보다 바람직한 품종으로 개량 했다고 봐야 하겠지요.얼핏 원예종이라고 하면 한 등급 낮은 것처럼 취급하는 감이 없잖은데 제 생각은 자생종을 바탕으로 많은 원예종을 만들어 내는 것이 지향점이고 보다 바람직한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이길영님의 댓글

이길영 작성일

  원예종이라 해서 자생종보다 못하다는 생각을 한다면 뭔가 이상하군요.다만 자생종을 주로 찾아다니고 원예종은 값을 치르면 식물원에서 구할 수 있다는 차이겠지요.원예종이 보다 바람직한 품종인지는 개인적인 생각이겠지만 다양한 품종을 만들어 낸다는 것은 비난하거나 한 등급 낮게 보는 생각이 바람직한지는 글쎄 동의하기가 그러네요.제가 물은 건 자생종으로 노랑할미꽃이 있는지 몰라 여쭈어 본 겁니다.

박경규님의 댓글

박경규 작성일

  자생종과 원예종의 차이는 가치기준이라고 생각이됩니다. 즉  원예종이라함은 그 수(數) 가흔하여 가치가 떨어짐으로서 세인들에게 약간의 푸대접을 받는정도로 가치가 하락하는것으로... 

박경규님의 댓글

박경규 작성일

  자생종이라함은 같은종이라해도 색상.개체의크기.무늬등 흔히볼수없는 자태들을 귀히여기는 다시말해 같은종의 번식이 어려운 것을 가치로따지는....

박대철님의 댓글

박대철 작성일

  이길영님 말씀에 대한 의견이 아니라 손경화님 말씀에 대한 제 의견입니다.언짢게 생각하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이금선님의 댓글

이금선 작성일

  비밀의화원 두번째는 노랑할미꽃이네요.

신흥균님의 댓글

신흥균 작성일

  자생종도 있어요~~ 그러구 원예종이 존재한다면 을매나 좋고 바람직한 일이겠습니까? 원예종 다양하게 많이 많이 개발해 주셔요~^^

이용일님의 댓글

이용일 작성일

  정성으로 가꾸어서 화답하는거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