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자료검색>통합검색
1/3 페이지 열람 중
쌍떡잎식물 장미목 장미과 장미속에 속하는 식물의 총칭. 분류 : 장미과 장미속 원산지 : 서아시아 분포지역 : 북반구의 한대·아한대·온대·아열대 내용 출처 : 두산세계대백과 EnCyber 관목성의 화목(花木)이다. 야생종이 북반구의 한대·아한대·온대·아열대에 분포하며 약 200종이 알려져 있다. 오늘날 장미라고 하는 것은 이들 야생종의 자연잡종과 개량종으로서 아름다운 꽃이 피고 향기가 있어 관상용과 향료용으로 재배해왔으며 개량을 가하여 육성한 원예종(Rosa hybrida Hort.)을 말한다. 장미는 그리스·로마…
생열귀나무와 붉은인가목... 흐~~ 이거 머리 아프던데... 꽃의지름이 생열귀는 4~5센티, 붉은인가목은 2~3센티 정도 될 겁니다.
붉은인가목?
같은 장소인가요? 꽃뒤의 열매형태를 보면 확실할텐데요. 위는 붉은인가목이 확실해 보이고요. 아래는 (민둥)인가목 같습니다.
굵은 원줄기에 가시가 조밀하게(해당화처럼) 나있고요...꽃은 찔레보다 약간 컸읍니다 꽃술 등을 잘 살펴주십시요 거기에도 일반적인 흰찔레랑 덜꿩들은 있었지요 해당화로는 너무 작은 것이 아닌가요...색깔도 그렇고 키는 1미터 근접...정상부근서는 일반적인 홑잎의 붉은 해당화를 여러포기 보았답니다 이들과 비슷한 크기의 해당화 꽃도 있었읍니다 둘 다 아닐수도 있는지요...
정선 아우라지 근처에 생열귀밭이 5,000평쯤 조성되어 있습니다. 10년을 계속 만났으니... 해당화의 줄기는 회백색으로 가시가 밀생하고, 잎이 두꺼워 보이며 윤택이 훨씬 더 나지요. 생열귀와 비슷한 것이 붉은인가목인데 꽃이 더 적고, 열매가 동글납작 하지요.
변경열님께서 인가목이라 시정해 주셨습니다. 붉은인가목열매는 동글납작하다네요. ^^;
아,,, 붉은인가목 열매가 이케 생겼구나,,, 감사함돠...
붉은인가목? ^^;;
긴생열귀와 인가목 구별은 포기하고 있었는데, 그러한 구별키가 있었군요. ^^ 감사드리고요...제가 담은 인가목을 보아도 소엽이 7장 이하이군요. 붉은인가목은 열매가 동글납작하므로 강실장님 말씀처럼 긴생열귀가 젤 유력하군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