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자료검색>통합검색
1/18 페이지 열람 중
한국야생화개발연구회 2001년도 3차모임 결과 Ⅰ. 세미나 발표 및 토론 1. 세미나 개요 ○ 일시(장소) : 2001. 8. 9. 14:00∼18:00 (남원화훼시험장 세미나실) ○ 참석자 : 31명 - 학계 및 연구 지도기관 : 20 (고재영, 고재철, 기광연, 김긍식, 김승일, 김희준, 박윤점, 박재옥, 서종택, 송정섭, 이공준, 이야성, 이종석, 이진재, 이희두, 장영득, 정정학, 진성용, 최경주, 최정식) - 관련농가 및 업체 : 7 (김상진, 이상정, 이재경, 이재석, 조규원, 장형태, 최용호…
솔체꽃이 아직도 보이는건가요?넘 화사하니 마음이 평안 한 느낌....
두 마리의 부전나비가 사랑을 했답니다. 그 뒤로는 아무도 모른답니다.
무심한 가을볕이 애꿎게 타박들을 일도 없건만 어찌 이리 해보기가 어려운지요.근처를 한 바퀴 돌다가 물매화가 반가와 담았는데 곁에 산국과 흰투구가 곱기도 해 담았더니 빛이 모자라 모두 흐려 맑은날 다시 가려니 당초 해를 볼 수가 없어 갈날이 없네요.그래도 체꽃에 병아리가 종종대는 모습을 만났으니 너무 타박하지 마시지요.둥글레님은 바로 자유게시판에 멋진 작품을 계속 올려주시는 그 분이신 듯 하군요.
닷새의 긴 연휴 기웃한 햇살과 음나무 이파리는 자꾸만 밖으로 나가자고 유혹을 한다. 마지막 귀성 차량의 종종거리는 꼬리를 물고 둥글레님의 메세지를 핑계삼아 **으로 향하다. 길 옆 절개지에는 민둥체꽃 보라색 꽃잎에 가을이 잠시 휴식을 취하고 아직도 다하지 못한 미련이 있는지 병아리풀이 앉은뱅이 걸음으로 햇살을 잡고 있다. 뭐가 그리 급해서 이 길옆에서 근심을 해결했을까 으아했더니 돌마타리가 퀴퀴한 냄새의 주인공이었다. 둥근오리방풀인지, 방아풀인지 한참 실갱이를 하다가 숙제로 남겨 놓고 어*천으로 향한…
어제 마지막 추석 명절날 단양 부근에서 민둥체꽃 보라색 가을인사 실컷 받고 왔네요. 브로우치같은 체꽃 사진을 첨 보았을때 우리 나라 야생화가 저렇게 이쁜꽃은 절~때로 없을 거라 그랬지요. ㅎㅎ
솔체가 피랑추라는 이름을 갖고 있다는 걸 처음으로 아는군요.체,솔체,구름체가 있는줄 알았더니 민둥체꽃이 또 있다구요? ㅠㅠ...추석엔 둥실 뜬 달을 볼 수 있다니 웃음 가득한 추석 맞으시고 소원 빌어 이루시기 바랍니다.
아, 고려엉겅퀴가 그 곤드레 나물이라고요? ....어마나 ! 솔체꽃... 이름을 기억하는 특별한 야생화였는데 이게 또... 저는 오늘,한국야생식물연구회를 기웃대길 참 잘했군요!
제천 단양지방은 제가 즐겨 탐사를 나가고 있는 지역입니다. 이곳 석회암지대에는 잎과 줄기에 털이 없는 민둥체꽃이 주로 서식하지요.